머슴날의 유래
머슴날은 농가에서 머슴들의 수고를 위로해 주기 위해서 음식을 대접하며 즐기도록 하는 날로, 노비일 또는 일꾼날이라고도 한다. 가을 추수가 끝난 다음, 머슴들은 겨울 동안 크게 힘든 일 없 이 평안하게 지냈으나 2월에 들어서면 서서히 농사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고된 일이 시작되기에 앞서 일꾼들을 하루 쉬게 하여 즐겁게 놀도록 하는 것이다.
머슴날의 풍속
머슴들은 농악을 울리며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즐기는데, 주인들은 머슴들에게 돈을 주어 쓰도록 한다. 많은 노비를 거느린 대가에서는 떡도 하고 많은 음식을 준비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정월 대보름에 세웠던 볏가릿대를 내려서 그 속에 넣었던 곡식으로 송편 등의 떡을 만들어 스무살이 된 머슴들로 하여금 먹게 하였다고 한다. 그러면 그 해부터는 어른으로 취급받아 성인과 품앗이를 할 수 있게 된다. 지방에 따라서는 20세가 되어도 머슴날 성인들에게 한턱 내지 않으면 성인 취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머슴날 성인식을 하지 않았을 때에는 "두레"가 났을 때 하기도 한다.
이처럼 머슴날은 평소에 대접받지 못했던 머슴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어, 그 해의 농사에 전념하도록 하려는 의도에서 여는 농경 의례의 하나인 것이다.
영등날의 풍습
"영등"은 바람을 일으키는 신으로, 천계에 살고 있다가 2월 1일에 지상에 내려와서 20일에 다시 올라간다고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영등할머니는 딸 혹은 며느리를 데리고 2월 초하룻날에 내려 왔다가 3일, 15일 또는 20일에 하늘로 올라간다고 각기 다르게 믿고 있는데, 영등신앙은 주로 영남 지방과 제주도에 분포되어 있다.
영등할머니가 인간 세상에 내려올 때 딸을 데리고 오면 일기가 평탄하지만 며느리를 데리고 올 때에는 비바람이 몰아쳐 농가에 피해를 입힌다고 한다. 일기가 불순하면 농작물이 피해를 입고 일기가 순조로우면 풍작을 바랄 수 있으니 영등 할머니는 바람과 농작의 풍흉과 관계되는 농신(農神)의 성격을 가진다. 또한 영등할머니가 지상에 머물러 있는 동안은 거센 바람이 일어 난파선이 많이 생긴다고 한다. 그래서 어부들은 이 기간 동안은 출어를 삼가며 일을 쉰다. 이와 같이 영등할머니는 농신이자 풍신(風神)이어서 바람을 몰고오기 때문에 농촌이나 어촌에서는 풍재(風災)를 면하기 위해 영등할머니와 그 며느리에게 풍신제(風神祭)를 올리는데 이를 '바람 올린다'고 한다.
특히 바람이 심한 제주에서는 '영등제'를 지내는데 '영등할망'이라고 불리는 여신이 섬 주변의 해산물을 증식시켜 준다고 믿고 있다.
영등할머니가 인간 세상에 있는 동안에는 금속(禁俗)이 있다. 즉 영등할머니를 맞이하기 위하여 황토를 파다가 문 앞에 뿌려 신성하게 하며, 대나무에 오색 헝겊을 달아 사립문에 매달고,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며, 창도 바르지 않고 고운 옷을 입는 것도 삼간다. 또 논밭 갈이는 물론, 땅을 다루거나 쌀을 집밖으로 내지 않는다. 한편 영등할머니가 하늘로 오르는 날 비가 오면 풍년이 들고, 조금 흐려도 길하다고 한다.
지방에 따라 2월 초하루 아침에 사내아이가 대문을 들어오면 길하다는 속설이있어 사내아이가 있는 서민들이 부잣집에 심부름을 보내 쌀 또는 옷가지를 얻어 오는 풍습이 있고, 마을마다 구성되어있는 동계(洞契)의 정기총회를 열기도 하는데 기금을 모으기위해 정월 내내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지신밟기"로 액을 떨치고 운을 빌어주었던 "마당놀이풍물단"의 수입금 정산과 대보름 동제(洞祭) 경비 정산및 임원선출을 하는 등 마을주민 모두가 모여 음식을 나누며 하루를 즐겼다.
2월 초하루에는 "노래기"를 퇴치하는 풍속도 전해진다. 노래기는 지방에 따라서는 '노내기'라고도 부르는데, 한자로는 백족충(百足蟲), 마현(馬蚿), 마륙(馬陸), 환충(環蟲)이라고도 한다. 지네같이 생긴 벌레로 노린 냄새를 풍기며, 여름철이면 음습한 곳이나 짚 썩은 곳 등 지저분한 곳에서 주로 산다. 이날 집안을 청결하게 하고 종이를 잘라서 향낭각씨(香娘閣氏)의 노리개를 만들어 향낭각씨속거천리(香娘閣氏速去千里)라는 여덟 자를 써서 서까래에 매달아 둔다. 이는 "향낭각씨는 빨리 천리 밖으로 도망가라"는 뜻으로 향낭각씨는 곧 노리개를 미화한 표현이다. 또는 소나무 잎사귀를 추녀 끝에 꽂아 넣기도 한다.
'퍼 온 글, 토론, 강의, 역사와 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져간 풍습 / 설날 (0) | 2022.07.16 |
---|---|
사라져간 풍습 1월 / 정월 대보름 (0) | 2022.07.16 |
사라져간 풍습 3월 / 삼짇날 (0) | 2022.07.16 |
사라져간 풍습 / 한식(寒食) (0) | 2022.07.16 |
사라져간 풍습 4월 / 초파일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