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의 도심 생태공간인 덕진공원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들이 잇따라 관찰돼 생태 회복의 상징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주시는 최근 덕진공원에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수달, 2급인 남생이와 노랑부리저어새 등이 발견됐다고 16일 밝혔다.
수달은 최근 4마리가 무리를 지어 수변구역을 이동하고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노랑부리저어새와 도요새 무리는 지난 2월과 3월 처음으로 이곳에서 먹이활동과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맑은 수질과 안정적인 서식 환경이 필요한 야생동물들이 도심 공원에서 잇따라 확인되면서 덕진공원의 생태 건강이 크게 회복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주시는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호수 수질 개선, 남생이 보호와 서식지 복원 등에 나섰다. 올해는 열린광장과 창포원 조성, 산책로 정비 등을 마쳐 시민들이 자연을 누릴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수달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된 수달은 깨끗한 물과 풍부한 먹이자원이 갖춰진 곳에서만 서식하는 반수생 포유류다. 우리나라 하천과 호수, 하구 등에서 주로 발견되며 야행성으로 낮에는 은신처에 머물고 밤에 주로 활동한다.
수달은 민물고기, 갑각류, 조개류 등을 먹으며 생태계 먹이사슬의 상위 포식자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수질 오염과 환경 파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수달의 존재는 해당 지역의 생태적 건강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여겨진다.
그러나 무분별한 개발과 서식지 파괴, 수질 악화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현재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종으로서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
대한민국 대표 민물거북 남생이
남생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물거북으로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다. 등딱지 길이가 약 20cm 정도로 비교적 작고, 몸빛은 어두운 녹갈색이며 옆구리에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하천이나 저수지, 논과 같은 담수 지역에서 서식하며 수초가 많고 물살이 느린 환경을 선호한다.
남생이는 수생곤충, 올챙이, 물고기, 수초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생태계의 먹이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어린 시기에 천적에게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은신처가 충분한 자연환경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하천 정비 사업과 농경지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불법 포획과 환경오염까지 겹치면서 개체 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노랑부리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는 전 세계적으로 개체 수가 극히 적은 멸종위기 야생동물로, 천연기념물 제205-2호로도 지정된 보호종이다. 부리가 넓적한 주걱 모양으로 생겼고 끝이 노란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몸 전체는 흰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날개를 펼치면 약 1.3m에 이르는 위용 있는 모습을 자랑한다.
노랑부리저어새는 주로 얕은 갯벌이나 하구, 하천 습지에서 서식하며 부리를 좌우로 흔들며 먹이를 찾는다. 작은 물고기, 갑각류, 곤충 등을 섭취하며 물속 생태계의 건강한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민감한 서식 조건을 요구하는 만큼 수질이 오염되거나 습지가 사라질 경우 쉽게 떠나버리는 특징이 있다.
노랑부리저어새는 일부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극소수 종으로 매년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는 철새다. 전 세계 개체 수가 5000마리 이하로 추정될 만큼 희귀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도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퍼 온 글, 토론, 강의, 역사와 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일륙, May 16 coup , 五一六 (3) | 2025.05.16 |
---|---|
생활 속, 수학의 정석 / 알아두면 유익한 자동차 번호판 (1) | 2025.05.16 |
MBC 청룡 초대 사령탑 백인천과 최초의 전사들 (4) | 2025.05.02 |
프로야구 최초 서울팀 ‘MBC 청룡’을 아십니까? (2) | 2025.04.25 |
의사 집단의 '사회적 반란'을 막을 방법 찾아야 할 때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