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의 어머니들이 가사노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생활의 근본 조리시설(부엌)과, 잠자고 생활하는 주거공간(거실, 침실)의 난방시설이 어떻게 변천하였는지 살펴보면, 우리 조상들은 신석기시대 이래로 생활공간 바닥에 온돌이 설치되기 전까지 생활면과 부엌이 한 공간에서 공존하고 있었다.
신석기시대 이래로 원삼국시대까지 부엌은 주거지 가운데에 화덕을 만들어 토기를 올려 놓고 주변에 땔감을 배치하여 사용했다. 이때 난방기능을 하는 화덕 주변이 바로 조리공간(부엌)이기도 하였다. 어떤 지방에서는 화덕을 별도로 벽면에 붙여 긴 통로형태로 쪽구들(온돌)을 만들어 추위를 대비하기도 하였다. 이것이 온돌의 조상격이 되는 셈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조리와 난방시설은 한 공간에서 따로따로 존재했다.
이후 삼국시대가 되면서 아궁이와 연도(燃道 불길)를 가진 부뚜막이 주거지 내부에서 화덕을 대체하여 조리공간으로서 설치되고 솥과 시루같은 조리용기도 등장하게 된다. 아궁이에 불을 지펴 솥같은 조리기구에 가열하고 남은 열기로 난방의 기능도 겸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부엌과 난방이 결합되기 시작한다.
부뚜막은 다양한 구조(ㅡ자형, ㄱ자형, T자형 등)로 발달하게 되지만 공통점은 여전히 생활공간과 분리되지 않고 한 공간에서 공존했다는 점이다. 삼국시대 말기 즈음 본격적으로 지상 건물이 지어지면서 최초로 생활공간에서 부엌이 분리되기 시작한다.
백제의 웅진기부터 확인되는 지상건물지로서 벽주(壁柱)건물이 있다. 방형 공간의 외곽으로 촘촘하게 기둥을 세워 그 안쪽으로 지상식의 생활공간을 만드는 구조인데, 이 벽주건물 생활면의 지하에 판석으로 조립한 한줄의 온돌시설(붉은 타원 안)이 확인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발굴 조사된 사례는 없지만 한국에서 전파되어 축조된 일본의 사례(日本 觀覺寺遺蹟, 大津市 穴太遺蹟)에서도 보이고 있어 아마도 이 즈음부터는 지하 온돌이 축조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온돌은 고려․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생활공간 전반에 설치되기 시작하고, 부엌도 자연스럽게 생활공간 옆에 온돌 높이에 맞춰 조성된다.
이것이 현재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통가옥의 부엌 모습이다.
근대 이후 우리는 아이러니하게도 선사시대의 부엌 모습이 재현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부엌과 난방시설이 완전히 분리되었다는 점이 첫 번째이고, 두 번째는 생활공간 속으로 부엌이 다시 들어왔다는 점이다.
특히 요즘 많이 생기는 원룸주택을 보면 난방역할을 하는 온돌은 얇은 조립식 페널형 온돌마루가 보급되면서, 더 이상 부엌의 아궁이(가스렌지나 인덕션으로 바뀌었지만)가 온돌과 연결되지 않고 분리 설치되고 있다.
또한 생활하고 잠자는 공간과 취사 공간이 모두 한 공간에 공존하고 있으니 역사의 수레바퀴는 다시 선사시대로 돌아갔다고 할 만 하다.
2018.3.8 문화재청 / 발굴조사보고서에서 인용
'퍼 온 글, 토론, 강의, 역사와 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라져간 풍습 12월 / 섣달 그믐(除夕) (0) | 2022.07.16 |
---|---|
고종과 헐버트 / 황제가 신임한 미국 친구 (0) | 2022.07.16 |
傳統 山神祭 順序와 笏記 (0) | 2022.07.16 |
淸酒와 濁酒 ,동동酒 그리고 燒酒와 과일酒 (0) | 2022.07.16 |
간추린 관혼상제 (0) | 2022.07.16 |